헐리웃 탑배우가 서울 골목식당에서 설거지를 하게 된 이유

2016

헐리웃 탑배우가 서울 골목식당에서 설거지를 하게 된 이유

리듬에 맞춰서 춤을 추고 있는 여성들, 얼마전 한국에서 크게 유행했던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를 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이 아무노래 챌린지를 업로드한 여성은 미국의 인기 여배우 릴리 콜린스였습니다. 이미 한국에서 유행이 꽤 지난 상태였는데, 갑자기 유명 여배우가 이를 언급해 한국에서 크게 화제가 되었는데요.

그녀가 한국에 엄청난 팬이라는 것도 놀라웠지만, 더욱 우리를 놀라게 했던 것은 따로 있었습니다. 바로 이번 일로 재조명 된 그녀가 한국에서 보낸 과거였죠.

릴리 콜린스, 그녀는 세계적인 음악가이자, 프로듀서인 필 콜린스의 딸로, 영국에서 태어나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서 활동을 시작한 유명 여배우인데요. 도발적인 빨간 입술, 하얀피부로 마치 동화속에서 튀어나온 듯한 외모가 특징이죠.

덕분에 이런 장점을 살려 영화 백설공주에서 ‘백설공주’ 역으로 캐스팅! 완벽한 싱크로율을 보여주어 큰 호평을 받았는데요. 그 뒤로 ‘러브 로지’ ‘나는 악마를 사랑했다’, ‘톨킨’ 등 수많은 작품에서 열연을 펼치며 승승장구했죠.

그러던 와중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에밀리, 파리에 가다’에 주인공으로 발탁되며, 또 한번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하는데요. 파리의 마케팅 업무를 맞게 된 미국인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진행된 이 드라마에서, 그녀의 캐릭터성은 세계적인 인기를 누립니다.

드라마의 존재 이유가 그녀의 캐릭터라고 할 정도로, 아름다운 배경인 파리와 그녀의 연기와 패션이 잘 어울렸죠. 덕분에 시리즈는 시즌 2까지 이어지며 흥행했는데요. 그녀도 이런 사랑에 감사함을 느껴, SNS로 함께 출연했던 배우 애슐리 박과 함께 팬들하고 자주 소통하며 보답했습니다.

그런데 이처럼 팬들과 소통하던 와중, 그녀가 한국을 엄청나게 사랑하는 배우라는 사실이 드러났는데요.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를 하거나 BTS 노래를 즐겨듣는 등 K-POP을 좋아하는 것은 물론, 심지어 과거에 한국에서 오랜기간 동안 체류했다는 사실까지 알려졌죠.

과거 봉준호 감독의 작품인 ‘옥자’에 캐스팅된 그녀는 촬영을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가 한국의 엄청난 팬이 되었다고 밝혔었는데요. “일 때문에 방문한 한국이었지만 아름다운 풍경, 볼거리, 따뜻했던 한국 동료들 덕분에 이곳을 좋아하게 되었다.”, “그리고 특히 너무 좋았던 것은 한국 음식이 너무 맛있어서 사랑에 빠졌다.”라며 한국을 좋아하게 된 이유를 말했죠.

그러면서 그녀는 일이 끝나고도 몇달간 한국에서 더 머물기로 결정했는데요. 한국에 지내는 동안 릴리 콜린스는, 청계천, 경복궁, 동대문시장, DDP 등 해외에서 유명한 명소뿐만 아니라 한국의 매력을 보여주는 다양한 풍경을 자신의 SNS에 자랑했습니다.

서울 지하철과 노점상 그리고 수산시장 등 우리에겐 일상 생활 공간이었지만 그녀의 눈에는 따뜻하고 신선한 도시로 보였죠.

한국 생활의 끝이 다가오자 그녀는 마지막을 특별하게 보내고 싶어했습니다. 그런 그녀가 향한 곳은 놀랍게도 전라남도 장성군이었는데요. 한국음식을 사랑했던 그녀이기에, 미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직접 한국음식을 만드는 일을 해보고 싶다고 했었는데요. 그녀가 장성군으로 온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었죠.

장성군에는 백양사라는 사찰이있었는데요. 백양사에는 해외에서도 유명한 스님이 한분 계셨습니다. 그 스님은 바로 넷플릭스의 음식 다큐멘터리 ‘셰프의 테이블’에 출연했던 정관 스님이었는데요.

릴리 콜린스는 이곳 백양사에서 머물면서 정관 스님의 요리를 도와주면서, 한식 조리를 경험해보려고 찾아온 것이었죠. 채소와 쌈을 손질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밥을 짖는 것까지, 모든 단계의 한식조리를 하면서 콜린스는 한국요리의 따뜻함과 건강함을 느꼈다고 전했습니다.

결국 모든 일정을 끝내고 콜린스는 고향으로 돌아갔지만 한국을 잊지 못했습니다. 주기적으로 한국에서 찍었던 사진을 업로드하면서 한국을 그리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예전 같으면 진작 한국을 방문했을테지만 여행제한이 많이 걸려 직접 방문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매우 아쉬워했죠.

팬들과 소통하면서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나 K-POP을 자주 언급했던 이유도 아마 한국에 대한 그리움의 대한 표출이 아닐까 싶은데요.

“원작자의 동의하에 가공 및 발행된 콘텐츠입니다.”